• 検索結果がありません。

구성원소 이론으로 보는 한국어 'ㄷ' 불규칙의 음운현상 外国語教育フォーラム|外国語学部の刊行物|関西大学 外国語学部

N/A
N/A
Protected

Academic year: 2017

シェア "구성원소 이론으로 보는 한국어 'ㄷ' 불규칙의 음운현상 外国語教育フォーラム|外国語学部の刊行物|関西大学 外国語学部"

Copied!
11
0
0

読み込み中.... (全文を見る)

全文

(1)

한국어

한국어 ‘ㄷ’ 규 의 규 의 음운현상 음운현상

エレメント理論で見る朝鮮語 ㄷ 変則の音韻現象

新 保 朝 子  토 코

 朝鮮語のいわゆる ㄷ 変則活用では、語幹末の子音/ㄷ/[t,d]が母音で始まる語尾の前で/ㄹ/

[ ]に変化する音韻現象が見られるが、語幹末に/ㄷ/がありながら変則が起こらない用言もあ る。本稿ではエレメント理論をもとに、[t,d]が[ ]に変化する現象を、すべての言語に普遍的 に適用される仕組みと照らし合わせて解析する。まず、[t,d]は内部構造として[ ]と同じ構成 要素を持っているため、弱化の結果が必然的に[ ]になることを示す。また、弱化を起こす環 境は音節の強弱の関係性に依存することを根拠に、[t,d]から[ ]への変化を引き起こす動因を 解明すると同時に、いわゆる変則活用と正則活用の違いを明らかにする。

キーワード:구성원 , 내 구성, 규 활용, 자음 현상, 탄설음

1 . 론

 외국어 교육에 있어 음운론은 음 교육뿐만 니 문 습을 비롯 넓은 분 에 매우 중요 다. 본고에 는 히 용 활용에 일어나는 음운변동 과정에 초 을 변별 자질 는 쉽게 설명할 는 음운변동을 자음의 내 구성 차원에 살펴봄으

명 고자 한다. 이러한 고찰은 한국어의 음운변동을 어 편성의 관 에 근한다는 에 외국어 한국어 교육 인 의의 있다고 겠다.

 한국어 용 의 활용에 어간과 어미 사이에 리 뀌는 현상이 일어나는데 외국어 의 한국어교육 현장에 는 기에 어떤 음운규 이 응되 는 를 제 정 한 이 와 습 이 능 다. 히 규 활용 는 용 은 일상생활에 흔히 사용되는 어 휘이므 교육 현장에 이른 기에 규 활용에 대한 습이 이루어 는데 단순히 변이 규 을 용 연습을 키는 방 으 는 습자에게 많은 다. 교 자 용 활용에 일어나는 음 변 규 뿐만 니 음운론 원리까 이

습자에게 간단 명료 게 단 를 주는 것만으 신 한 습에 크게 움이 될 것이다.  현재 한국어 교육 현장에 일반 으 이루어 는 용 활용 교육 방 은 전통 인 규 제 와 용이다. 먼 활용 형 에 따 어미를 세 종류 나눌 있음을 알려준다. 자

(2)

음으 작 는 1군 어미( 고, , 게 등), 음으 작 는 2군 어미( /어 , 았/ 등), 어간 말 자음의 유무에 따 음 으 매개되는 3군 어미((으)면, (으)니,

(으)려고 등) 어미를 정리 제 한다.1) 그 다음 어미의 용 을 습 면 활용 방 을 는데 이 때 규 에 어긋나는, 어간이나 어미 형 변 는 활용이 있으면 기에 별히 유의 게 한다. 그런데 습자 입장에 는 규 활용 습에 큰 어 려움을 느끼는 것이 사 이다. 예를 어 어미 /어 의 활용 방 을 습 것만으

벅찬데 어간의 끝 리 ㄷ 이나 ㅂ 인 용 은 어간 말 자음이 다른 리 변 는 활용을 을 알 한다. 게다 어간 말에 ㄷ 이나 ㅂ 이 있는 용 인데

규 활용을 안 는 규 의 예외 있다고 니 습자의 만만 않다.  용 활용에 대한 효과 인 이 와 습 을 위 음운론 원리를 는 것이 중요 다. , 같은 형 를 진 용 인데 규 활용을 는 것과 규 활용을 는 것을 구별 는 무 인 , 리의 변동이 왜 일어나는 , 변한 습이 왜 그 리이어 는

를 습자 안다면 규 활용 습에 대한 크게 줄일 있을 것이다.

 이에 본고에 는 용 의 규 활용에 대한 논의를 정리한 다음 어간의 규 활용 중 에 ㄷ 규 을 /ㄷ/이 /ㄹ/ 변 는 과정을 구성원 이론을 탕으 .

2 . 규 용 에용 에 대한대한 기존의기존의 논의논의

 어간에 어미 붙어 활용될 때 어간과 어미의 습이 일정 일반 인 음운현상이 용되어 어간, 어미의 교체 일어나는 것이 있는 반면 환경에 따 음 와 형 뀌는 것

있다. 교문 과 한글 춤 등 규 문 에 는 전자를 규 활용, 후자를 규 활용 는 변 활용이 고 른다.2) 예를 어 어미 다 , /어 , (으)면 과 결 때 용 어간의 변동을 자.3)

 ⑴ a. 다 a . , 으면 b. 잡다 b . 잡 , 잡으면 c. 웃다 c . 웃어 , 웃으면

 ⑵ a. 다 a . 어 , 으면 b. 눕다 b . 누워 , 누우면 c. 다 c . 나 , 나으면

어미 다 와의 결 에 는 (1a c), (2a c)에 처 든 경우에 어간에 변동이 으므

(3)

다 는 든 어간으 규 활용을 게 는 어미 할 있다. 한 (1)의 용 은 어미 /어 와 (으)면 과 결 할 때 어간의 형 그대 유 되므 규 용 이다. 그런데 (1)과 같은 어미 붙은 경우인데 어간에 음운변동이 이는 (2a c )는 규 으 활용 는 규 용 이다. (2a )를 ㄷ 규 , (2b )를 ㅂ 규 , (2c )를 ㅅ 규 이 른다.

 이처 규 활용과 규 활용에 대한 규 은 활용할 때 나 나는 형 의 변 를 일정 한 음운규 으 설명할 있느냐 는 기준에 의 설정된 것이다. 그런데 규 이 용되 는 어간의 기 형을 어떻게 설정 느냐에 따 규 성 과 성 의 구별이 어질 있고 반대 될 있다. 김진우(1971)에 는 어간에 단일한 기 형을 설정 규 성 을 애려고 다. ㄷ 규 을 예 으면 (1a a )의 어간의 기 형을 잡고 (2a a )의 기 형은 잡으면 (2a )의 어 , 으면 에는 규 성이 는 것이고, 자음 앞에 는 폐구 음원 (閉口調音原則, principle of close articulation)4) 의한 이형(異形)이 되면 (2a)처 다 된 것이 고 았다. 이에 대 최명 (1985) 등에 는 단일 어간 기 설을 비판 고 규 용 에 다중 기 형을 설정한 뒤에 활용을 설명 려고

다. 곧 (2a a )의 기 형은 자 의 리 인 어휘 에 / 두 개 등재되어 있으 며 는 어미 자음으 작 느냐 음으 작 느냐 는 환경에 따 선 된다 고 한 것이다.

 위의 논의 은 결국, 어간의 기 형을 무 으 설정 간에 어간의 리 다른 리 과정을 주는 규 을 제 뿐, 음 변 는 메커니즘에 대 는 설명을 못한다. 다 말 ㄷ 규 에 /ㄷ/이 음 어미 앞에 왜 변 는 , 변 한 리 왜 /ㄹ/이어 는 , 그리고 같은 환경에 /ㄹ/ 변 않은 /ㄷ/이 있는 이 유 무 인 는 문제를 결 못 는 것이다.5)

 [ㄷ]와 [ㄹ] 리에 대 통찰 려고 할 때 공통 으 [+coronal]와 [+anterior] 는 변별 자질이 있는 것과 동 에 [±sonorant]와 [±continuant] 는 자질에 차이 나는 것으 는 것만으 는 위의 의문 을 결 기 어렵다. 두 리 간의 관계는 분 절음의 내 구성을 게 알 있다. 본고에 는 분절음은 일정한 성을 나 내는 구성원 (element)의 존재와 결 는 성으 이루어진다고 는 구성원 이론

(Element Theory)6) 기초 ㄷ 규 활용에 일어나는 음운현상을 살펴 고자 한다.

3 . ㄷ 활용에활용에 일어나는일어나는 음운현상음운현상 3 .1  [t, d]와 [ ]의 연관성의 연관성

 한국어의 ㄷ 규 활용에 일어나는, /ㄷ/[t, d] /ㄹ/[ ]7) 변 는 현상은 다른 어 에 흔히 볼 있다.

(4)

 ⑶ a. 주 어8) [ˈwɔːtə]∼[ˈwɔː ə] (water: )

[ˈbɑdi]∼[ˈbɑ i] (body: 몸) b. (低地) 일어9) [ˈvɑːtə]∼[ˈvɑː ə] (water: )

[ˈbeːdn]∼[ˈbeː n] (bä den: 놀다) c. 민남(閩南)어10) [khuta]∼[khu a] (窟仔: 작은 구멍)

(3)의 예 은 위 자음 (lenition) 리는 현상 중의 나인 탄설음 (tapping)인데

[t]나 [d] 음 사이에 [ ] 음되는 것을 볼 있다. (3.a b)의 예는 앞 음에 센 있고 그 중에는 장 음인 것 있다. (3.c) 음 사이에 [t] [ ] 변 는데 앞 음절에 기 음이 있다는 에 주 할 있다.

 이 현상을 데 먼 [t] 는 [d]와 [ ]에 어떤 관계 있는 알 볼 필요 있 다. 구성원 이론에 는 음위 를 나 내는 구성원 , 음을 구성 는 원 와 동일한

▏I▕, ▏U▕, ▏A▕를 설정 는데 설정성(舌頂性)을 진 (歯茎音)인 [t, d]는 전설고 음 [i]와 비슷한 징을 나 낸다고 ▏I▕를 진 것으 본다.11) 기에 음기관의 폐쇄를 나 내는 원 ▏ ▕ 께 있으면 [b] 현되고, 기 의 음성을 나 내는 ▏H▕ 를 더 면 [t] 리 되는 것이다. 한편 탄설음 [ ]는 내 구성에 ▏I▕ 자음 위 를 자 으 차 할 때 나는 리이다.12) 이것은 [t, d] 그 내 구성원 [ ]를 있 음을 준다. 다 말 [t, d]에 어떤 구성원 제 되면 [ ] 현된다는 것이다.

(2.a)의 한국어 ㄷ 규 활용과 (3)에 본 [t, d] [ ] 변 는 현상은 두 [t, d] 내 구성에 ▏ , H▕를 잃은 결과 할 있다.

 ⑷ x x x

│ │ │

I▕I▕I▕

▏ ▕ ▏ ▕

H▕

[t] / [b] → [ ]

3 .2  자음자음 현상현상

 자음 현상이란 구성원 를 상 일이 할 있는데 그러한 현상이 일어나는 환경에 겠다. 음운 구 에 는 마다 음운론 으 한 위 와 한 위

있는데13) 한 위 에 는 내 구성원 를 유 는 힘이 구성원 를 잃게 된다. 그 결과 다른 리 현이 되는 것이 자음 현상이다.

 (3)의 예는 [t, d] 음 사이에 있을 때 [ ] 음될 있음을 준다. [t, d] 있는 대상이 되 다는 것이다. 음 사이 는 음절 구 요 와 더

(5)

음률 구 으 한 경우 음운 변동이 일어나기 쉽다. 음절의 차이는 음률 구 와 관련이 있는데 한 음절과 한 음절이 나의 쌍으 음 (foot)를 이룬다. 한 음절 이 면 센 히는 음절 는 기 음을 포 음절이다. 한 분기 구 를 닌 분절음을 진 음절 다. 구성원 이론에 는 고 센 를 진 음과 기 성을 진 자음은 같은 구성원 ▏H▕를 진다고 본다.14) 그리고 장 음은 음절 위 에 분 기 구 를 이루는 것으 본다. (3.a b)는 앞 음절에 센 있는 예인데 (5)에 센

있는 한 음절과 뒤 음절이 음 를 이루고 있음을 볼 있다. (3.c)는 기 음이 포 되 는 예인데 마찬 (6)처 왼쪽에 한 음절을 둔 음 를 이룬다. 음 상대 으 한 른쪽 음절은 대상이 되어 구성원 를 상 된다.

 ⑸ [ˈbɑdi]→[ˈbɑ i]  ⑹ [khuta]→[khu a]

Ft Ft

S W S W

O N O N O N O N

│ │ │ │ │ │ │ │

footsyll[ b ] [ d i ]] footsyll[ kh u ] [ t a ]]

⇓ ⇓

 자음 현상이 한 위 에 는 일어나 않는다. 어에 (3.a)와 같이 음 사이에 [t, d] 았는데 attacker[əˈtækə]에 는 음 사이에 있는 [t] 되어

*[əˈ ækə] 되 는 않는다. 이는 그 자음이 음 한 위 에 있 않기 때문이 다.

 ⑺ [əˈtækə]

Ft

W S W

│N O N O N

│ │ │ │ │

ə [ t æʹ k ə ]  ⇓ 

(6)

3 .3  한국어의한국어의 활용활용

 이제 한국어의 위 ㄷ 규 활용에 나 나는 음운현상을 어떻게 있는 살 펴 겠다. (8)은 한국어 용 에 어간 말의 /ㄷ/이 어미 결 의 결과 음 사이에 있게 될 때 어떻게 변 는 다 한 번 제 한 것이다.

 ⑻ a. (歩)+어 [kəd]+[əsə]→[kə əsə], +으면 [kəd]+[ mjən]→[kə mjən] (問)+어 [mud]+[əsə]→[mu əsə], +으면 [mud]+[ mjən]→[mu mjən] (載)+어 [ʃid]+[əsə]→[ʃi əsə], +으면 [ʃid]+[ mjən]→[ʃi mjən] b. (収)+어 [kəd]+[əsə]→[kədəsə], +으면 [kəd]+[ mjən]→[kəd mjən] (埋)+어 [mud]+[əsə]→[mudəsə], +으면 [mud]+[ mjən]→[mud mjən] (信)+어 [mid]+[əsə]→[midəsə], +으면 [mid]+[ mjən]→[mid mjən]

(8.a)에 는 어간 말의 자음이 음 사이에 [ ] 변 는데 반에 (8.b)에 는 어간 말 자 음이 음 사이에 원래 음 그대 의 습으 남 있다.

 (8.a)와 (8.b)의 차이는 성 (声調)와 음장(音長)과 관련이 있다. 중세 한국어는 성 어 리의 높낮이를 구별 는데, (low)를 띤 평성(平声)과 고 (high)를 띤 성

(去声), 그리고 상승 (raising)를 난 상성(上声)이 있 다. (8.a)처 활용에 음운변동 이 일어나는 용 은 통 볼 때 상성 음을 진 반면 (8.b)의 어미 앞에 음운변 동이 일어나 않는 용 의 어간은 통 평성을 진 것이 다.15) (8)의 용 면 원래 어간에 고 센 를 닌 음 뒤에 만 일어난다는 것을 알 있다. 근대 한국어에 와 는 성 음장 차이 뀐 통 변 에 상성 음이 장 음으

변한 습을 볼 있다.

 고 센 현되는 ▏H▕를 진 음절이 음 에 한 위 에 있을 있는 것처 분기 구 를 진 장 음 음절 한 .16) 어미와의 결 으 어간 말 자음은 어미의 음과 께 앞 음절 다 상대 으 한 위 에 있게 되어 겪는다.

(7)

 ⑼ a. [ˈkəd]+[ ə] → [kə ə]

Ft Ft

S W S W

O N O N O N O N

│ │ │ │ │ │ │ │

x x x x x x x x

│ │ │ │ │ │ │ │

[ [ k ə] [ d ə] ] → [ [ k ə ] [ d ə] ]

A▕I▕A▕I▕

U▕ ▏ ▕ ▏U▕ ===

H▕H▕ ▏ ▕

b. [kəːd]+[ ə] → [kə ə]

Ft Ft

S W S W

O N O N O N O N

│ │ │ │ │ │

x x x x x x x x x x

│ │ │ │ │ │

[[k ə ][d ə]] → [[k ə ][ d ə]]

U▕I▕U▕I▕

A▕ ▏ ▕ ▏A▕ ==

▏ ▕

(9)는 용 (歩)의 어간에 어미 어 붙 을 때 음 앞의 한 음절 인 /ㄷ/이 대상이 되어 구성원 ▏ ▕를 잃은 결과 [ ] 현되어

준다. (9.a)처 성 를 진 음절이 앞에 있을 때나 (9.b)처 앞 음절이 장 음일 때 나 뒤 음절의 자음이 /ㄹ/ 되는 환경임은 마찬 이다.17) 간이 흐름에 따 한국어 에 성 와 음의 장단이 음운론 으 변별 인 기능을 않게 되 으나 음운변동이 일어난 형 는 그대 남 있는 것이다.

 한편 (8.b)에 원래 평성으 센 를 니 않았던 어간 말 자음 /ㄷ/이 음 사이에 위 는데 되 않는다. 센 으므 통 으 장 음으 변한 일이

던 것 이다. 이는 어간의 음절이 않음을 의미한다.

(8)

 ⑽ [kəd]+[ ə] → [kədə]

Ft Ft

O N O N

│ │ │ │

[[ k ə ]] [[ d ə ]]

(10)은 용 다(収)의 어간과 어 결 한 활용형 어 를 나 내는 것이다. 어미의 음으 인 어간 말의 자음이 나의 음절을 이루게 되는데 앞 음절에는 한 요 다. 그러므 형성되 못 고 현상 일어나 않는 것이다.18)

4 .결론결론

 한국어의 위 ㄷ 규 활용에 이는, /ㄷ/이 /ㄹ/ 변 는 현상은 다른 어에 볼 있는 자음 현상과 같은 원리 설명할 있음을 았다. 자음 [t, d] 앞 음절

인 상대 으 한 위 에 있게 될 때 내 구 에 구성원 를 잃게 되어 [ ] 현되는 것이다.

 한국어 교육 현장에 의 효율 인 규 활용 교 방 에 대 많은 연구와 이루어져 왔다. 자음이 변이 는 음운 규 을 제 전통 인 방 외에, 어간을 통 19), 그리고 활용형 자체를 규 용 과의 상 관련 에 암기

20) 등이 제안된 있다. 그러나 그 어떤 방 에 습자 이 흔히 게 되는 왜 그 게 변 는 는 의문에 대한 을 주 못한다.

 /ㄷ/이 변이한 습이 /ㄹ/인 이유는 두 리 내 구 에 같은 요 를 있기 때 문이 는 과, 활용으 인한 음절의 재구성으 일어나는 메커니즘을 간략 게 알 려 주는 것만으 습자에게는 규 성의 원인을 르는 데 움이 될 것이다. 결국 두 나 나는 활용 형 를 두고 어느 쪽이 규 활용이며 어느 쪽이

규 이냐 는 논의 차 의미 게 되는 셈이다.

 더 나 위 규 활용 중 ㅂ 규 과 ㅅ 규 에 같은 원리 리의 변이 일어남을 안다면 잡 이는 규 활용 습에 대한 줄일 있을 것이다. /ㅂ/이 /ㅜ/ 되는 변이와 /ㅅ/이 청 리를 잃게 되는 현상 같은 메커니즘으 일어나는 자음 현상으 할 있다고 본다. 이에 대한 자세한 논의는 후를 기

겠다.

(9)

1 ) 허용 외(2005)에 는 어미의 종류를 나누는 데 1군 어미, 2군 어미, 3군 어미 는 명칭을 사용 기술한다. 이에 대 이용(2013)에 는 어미의 형 에 주 이것 을 1군 어미, 2군 어 미, 3군 어미 굳이 다른 이름을 줄 필요 다. 자음으 작 는 어미는 그냥 간단 게 자음 어미군 으 줄 를 있고, 마찬 음 어미군 , 으 계열 어미군 으 줄 를 있 을 것이다.(이용, 2013: 180) 고 . 熊谷明泰(2011/2015)에 는 활용에 다르게 나 나는 형 에 単一型 , /어交替型 , 으媒介型 이 고 른다. 중요한 것은 명칭이 니 어 미군과 는 양상에 다른 분류 는 것이다.

2 ) 교문 의 관 에 대 이관규(1999/2003)에 는 다음과 같이 설명 고 있다. 용 이 활용 할 때에 대 분의 용 은 어간이나 어미의 기본 형 유 되 나, 달 진다 그 현상을 일 정한 규 으 설명할 있다. 이를 규 활용이 한고, 이러한 용 을 규 용 이 한다. 이 에 비 일 의 용 은 어간과 어미의 기본 형 유 되 않을뿐더러 그 현상을 일정한 규 으 설명할 다. 이를 규 활용이 고, 이러한 용 을 규 용 이 한다. (이관 규, 2003: 160) 한글 춤 에 는 규 용 과 관련된 표기 원 에 대 술 면 ( 규 용 은) 어미 원 에 벗어난다 고 (한글 춤 , 1988: 제18항).

3 ) 前間恭作(1924/1974), 河野六郎(1952/1979)등에 는 어미를 변 않은 분, 어간을 변 는 것으 고 위 어간을 어기(語基) 고 른다. 이 이론에 따르면 본문 (1a)의 예에 는

으 위 어간이며 어미는 다 면 이 된다. 본고에 는 일정한 형 유 되는 분을 어간, 변동이 있을 있는 분을 어미 는 입장을 취한다.

4 ) 김진우(1971: 2)에 는 폐구 음원 을 다음과 같이 설명 고 있다. 폐구 음원 이란 침규 에 의한 한국어 유의 내파(内破)현상으 , 은 의미에 파열음 이 어말이나 자음 앞 등 정한 위 에 파열 않음을 뜻 고, 넓은 의미에 는 파찰음, 마찰음 이 같은 위 에 동위 의 미파열음(未破裂音)으 뀌는 것을 말한다. 그런데 이것은 음절 말이나 자음 앞 등 음운론

으 한 위 에 일어나는 자음 현상이며 많은 어에 자연스 게 볼 있다. 구 인 위 의 관계와 자음 현상의 연관성에 대 본고 3장에 다루어져 있다. 5 ) 제 이기문・장 원(1994: 158)은 중세 국어의 예를 으면 ㄷ 이 ㄹ 교체된 것은 어떤

자질에 말미암은 것인 않다. 고 다.

6 ) 구성원 이론(Element Theory)에 는 분절음 구 를 구 최 요 구성원 를 설정 의 분절음은 이 구성원 자 으 존재 나 결 는 성 청 리 현된다고 주장한다 (Harris, 1994). 최신 이론에 는 6개 구성원 를 설정 그것으 음과 자음을 포 한 든 분절음 구성을, 음운론 인 동을 기반으 분 표 할 있다고 한다 (Backley, 2011).

7 ) 한국어의 음 /ㄹ/은 두 이음을 는데 나는 음 사이에 음되는 탄설음(弾舌音: tap) [ ]이고, 음절 말 는 자음 앞에 는 설측음(舌側音: lateral) [l] 음된다. 한국어 유음은 음기 r 표 되는 경우 많은데 음성 으 는 [r]는 연탄음(連弾音: trill)를 나 내는 한 편 한국어의 /ㄹ/은 탄설음 [ ]이며 다른 어의 자음 현상에 현되는 리와 동일 다. 8 ) 어의 예는 Carr(2013)에 인용.

9 ) 일어의 예는 Backley(2011)에 인용. (低地) 일어(Niederdeutsch)란 일어 고 리는 어 , 네덜란 와 벨기에 방에 사용되는 일어이다. 게르만어 이 는 과정에 [p,t,k] 어두나 자음 앞에 파찰음이 된 고고(古高) 일어(Althochdeutsch) 와 달리 파열음 음 그대 남 있다는 징이 있다.

10) 민남어의 예는 Backley(2011)에 인용. 민남(閩南)어란 중국 福建省 남 방에 사용되는 중국어이다.

11) 구성원 이론에 분절음을 구성 는 구성원 를 설정할 때 기준이 되는 것은 그 리의 음운 론 동이다. 한국어 /ㄷ/의 구성을 ▏I▕를 진 것으 분 한 이유는, 한국어에 j계 이중 음

(10)

이 전설 음 앞에 안 나 나는 것처 음이나 경구개음 앞에 현되 않는다는 것을 근 한다 (Backley, 2011: 73). 한국어의 음과 경구개음이 전설 음과 j계 이중 음과 같은

I▕를 고 있기 때문에 나란히 있을 다고 는 것이다.

12) Backley(2011: 133)에 는 [ ] 자음 위 에 ▏I▕ 구성된 리 할 있는 근 를 어의 자음 현상을 통 설명 고 있다. GA(General American)와 일랜 방 , 주 방 에 는 탄설음 (tapping) 일어나는데 국 어나 웨일 반 에 는 일어나 않고 현상으

get it[ge t]와 같은 결과 산출된다. 이러한 음운 현상에 탄설음 [ ]의 내 구성은 ▏I▕, 근음(接近音) [ ]는 ▏A▕ 볼 있다고 한다.

13) 음운론 위 의 상대 인 은 그 위 에 일어나는 음운현상을 면 알 있다. 한 위 에 있는 분절음은 흔히 동 나 현상의 대상이 되는데 예컨대 음절 구 에 는 한국어의 자음군 단순 와 같이 자음 현에 제한이 있는 음절 말 위 는 음절 초 위 다고 할 있다. 음률 구 에 음 (foot) 왼쪽 위 에는 센 힐 있는데 른쪽은 상대 으 [h, ] 되 나 멸되는 일이 있다.

14) 센 와 기 음은 음성 음운론 으 연관성을 인다. 음성 한국어의 기 음이 일본어 등 성 어 자에게는 고 린다는 에 명 , 음운론 으 는 칸무어(Kammu)의 쪽 방 에 기 음이 변이형으 고 센 를 닌다([thaaŋ]→

[tháaŋ]/[daaŋ]→[tà aŋ])는 예를 볼 있다 (Backley, 2011: 143). 구성원 이론에 는 고 센 를 진 음과 기 음이 둘 다 내 구성에 ▏H▕를 진 것으 본다 (Backley, 2011: 134, 143).

15) 중세 한국어를 면 개별 글자 왼쪽에 을 찍어 리의 높낮이를 표 는데 을 찍 않 는 것이 평성, 을 나 찍는 것이 성, 그리고 을 두 개 찍는 것은 상성이다. (8)에 예 된 용 은 중세 한국어 자료에 ·다(歩), : ·다(収), ·다(問), : ·다(埋), ·다(載), : ·다

(信)와 같이 기 되어 있다.

16) Harris(1990: 274)에 주장한 잡성 건(Complexity Condition)에 근 잡한 구 를 진 분절음은 다른 분절음 다 상대 으 때문에 음운현상의 동원이 될 있다고 분 할 있다.

17) 남기 ・고 근(1985/1993: 141)에 는 ㄷ 규 용 의 음장(音長)을 뒤에 음 어미 와 규 활용을 일으키면 그 음장이 멸된다고 . 김선정(2002)에 는 ㄷ, ㅂ 규 활용을 음운론의 관계와 승인원리 며 장 음을 구성 는 골격 나

았으므 리 나 않고 단 음으 현된다고 분 .

18) 음 앞에 /ㄹ/ 변 않은 규 용 중 다 는 어간이 상성을 니던 용 이다. 그 런데 현상이 일어나 않는 이유는 않으며 다(凍)의 활용형과 중 되는 일을 피 기 위 으 는 견 있으나, 음운론 관 에 앞 음절의 두음(onset) 자리 비어 있 어 음절의 잡성이 떨어 기 때문에 한 음절이 되 못 는 능성 생 할 있다. 한편

다 는 으 성 를 니 않았는데 /ㄹ/ 변 는 규 용 이다. 이 경우는 어간의 음 /ㅡ/ 진 성, 어떠한 음운론 정 를 않는 빈 에 현되는 리 는 과 관련이 있는 것으 분 할 있다. 이에 대 앞으 의 연구 과제 겠다.

19) 대표 인 것으 주 (2002)이 제안한 방안이 있다.

20) 김 선(2009)에 는 음운규 제 방 과 두 형 의 어간을 암기 키는 방 을 다 른 반에 정 한 활용 습 의 효율성을 험 는데 통계 인 결과 는 두 습 방 의 우월성을 평 것이 사 상 능 다는 결론이 나왔다.

(11)

参考文献

기세관 (1994) 「國語 不規則 語幹의 形態論과 音韻論」『한국 어문 』32, 한국 어문 회. 김선정 (1996) 「개정 음운론개관」『 어 』19, 한국 어 회.

김선정 (2002) 「한국어 음운현상에 나 난 결 작용과 분 작용― 음운론 근―」『 어 』 69, 한국 어 회.

김 선 (2009) 「한국어 규 용 의 교 방 연구」『우리말연구』25, 우리말 회. 김진우 (1971) 「所謂 變格用言의 非變格性에 關 」『韓國言語文學』8 9 合併號. 남기 ・고 근 (1985/1993) 『표준 국어문 론(개정판)』탑출판사.

민현 (1991) 「 교문 의 규 활용 교육에 대 」『선청어문』19, 울대 교 국어교육과. 주연 (2002) 「외국인 습자를 위한 규 용 의 교 방 연구」『이중 어 』20, 이중 어 회.

이관규 (1999/2003) 『 교 문 론』 출판 월인. 이기문・장 원 (1994) 『국어사』한국방송대 교 출판 .

이용 (2013) 「유 를 이용한 규 용 교육 방안의 」『외국어 한국어교육』38, 연세대 교 연어연구교육원 한국어 당.

남민 (2002) 「한국어 교육용 교재에 나 난 규 용 에 관한 분 」『이중 어 』20, 이중 어 회.

최명 (1985) 「변 동사의 음운현상에 대 」『국어 』14, 국어 회.

허용 (2008) 「중간 어 음운론을 위한 자음 연구」『한국어 교육』19 1, 국제한국어교육 회. 허용 외 (2005) 『외국어 의 한국어교육 개론』 이정.

熊谷明泰 (2011/2015) 『アリラン』朝日出版社.

窪園晴夫,太田聡 (1998) 『日英語比較選書10 音韻構造とアクセント』研究社. 河野六郎 (1955/1979) 「朝鮮語」『河野六郎著作集』1, 平凡社.

秋美鎬,O Grady, W.,山下佳江 (2008) 『韓国語発音ガイド ― 理論と実践』白帝社. 田中伸一 (2005) 『英語学モノグラフシリーズ14 アクセントとリズム』研究社. 前間恭作 (1924/1974) 「龍歌故語箋」『前間恭作著作集』下巻, 京都大学国文学会.

Backley, Phillip (2011) , Edinburgh University Press. Carr, Philip (2013) , Blackwell Publishing.

Fromkin,V., Rodman, R. & Hyams, N. (2007) , Wadsworth Cengage Learning.

Harris, John (1990) Segmental Complexity and Phonological Government , 7 2, 255 300.

Harris, John (1994) , Blackwell Publishing.

Heo, Yong (1994) , Ph. D. Thesis, SOAS University of London.

Kaye, J. D., Lowenstamm, J. & J.-R. Vergnaud (1985) The Internal Structure of Phonological Elements: A Theory of Charm and Government , 2.

Kim, SeonJung (1996)

, Ph. D. Thesis, SOAS University of London.

Ladefoged, P., Johnson, K. (2001) , Wadsworth Cengage Learning.

Rhee, SangJik (2002) , Ph. D. Dissertation, Leiden University, Trecht: LOT.

Roach, Peter (1983/2009) , Cambridge University Press.

参照

関連したドキュメント

訪日代表団 団長 団長 団長 団長 佳木斯大学外国語学院 佳木斯大学外国語学院 佳木斯大学外国語学院 佳木斯大学外国語学院 院長 院長 院長 院長 張 張 張 張

Introduction to Japanese Literature ② Introduction to Japanese Culture ② Changing Images of Women② Contemporary Korean Studies B ② The Chinese in Modern Japan ②

 文学部では今年度から中国語学習会が 週2回、韓国朝鮮語学習会が週1回、文学

*⚓ TOEFL Ⓡ テストまたは IELTS を必ず受験し、TOEFL iBT Ⓡ テスト68点以上または IELTS5.5以上必要。. *⚔ TOEFL iBT Ⓡ

山本 雅代(関西学院大学国際学部教授/手話言語研究センター長)

神戸市外国語大学 外国語学部 中国学科 北村 美月.

ダブルディグリー留学とは、関西学院大学国際学部(SIS)に在籍しながら、海外の大学に留学し、それぞれの大学で修得し

副学長(国際戦略) 担当部署: 国際戦略本部  施策: 海外協定大学の増加